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비트코인, 2025년부터 언제 사야 할까? 반감기 사이클별 매수 타이밍 총정리

by 엔돌슨 2025. 9. 23.
반응형

 

2025년 — “사이클 중반의 변동성 활용(딥 바잉 중심)”

  • 우선 매수 창구(Primary): 3~4월, 9월
    • 근거: 계절적 유동성/세금 이슈(봄), 가을 약세 시즌(9월)로 단기 조정 빈번.
  • 보조 창구(Secondary): 6월, 12월
    • 근거: 중간년도 모멘텀 둔화/연말 디레버리징 가능성.
  • 트리거(발동 시 추가 매수 강도↑)
    • 200일선/200주선 재테스트, MVRV≈1~1.2, -15~-25% 급락(3~10일 내).
  • 메모: 지금부터 DCA는 꾸준히, 딥에서만 추가 매수(1.5~3배). 추격매수는 피함.

2026년 — “박스권/횡보 가정: 이벤트성 급락 공략”

  • 우선 매수 창구: 2월, 5월, 8월, 11월
    • 근거: 분기 전후 이벤트성 변동성 확대 → 짧게 나오는 하락 꼬리 노림.
  • 보조 창구: 9월
    • 근거: 계절 약세 반복 가능성.
  • 트리거
    • 펀딩레이트 급반락/롱·숏 비율 급변, 스테이블코인 순유입 둔화 후 가격 -10% 이상 조정.
  • 메모: 지루한 구간일수록 규칙적인 DCA 유지가 유효. 추가 매수는 명확한 급락에만.

2027년 — “프리-할빙 포지셔닝: 과열↔조정의 진폭 커짐”

  • 우선 매수 창구: 8~10월
    • 근거: 프리-할빙 기대감과 이익 실현이 교차하는 변동성 확대 구간.
  • 보조 창구: 3월
    • 근거: 1분기 말 유동성 정리 구간에서 깊은 조정 발생 가능.
  • 트리거
    • MVRV 1.0~1.2, 거래소 프리미엄 축소/현물 ETF 유입 둔화, 50/200일乖離 과도→재수렴.
  • 메모: 분할만이 정답. 과열 때 쫓지 말고, 떨어질 때 조금씩.

2028년 — “반감기 전후 & 채굴자 스트레스(매수 핵심 해)”

  • 우선 매수 창구: 3~4월(반감기 전후), 5~7월(후행 조정)
    • 근거: 이벤트 전후 ‘소문에 사고 뉴스에 판다’ 변동성 + 반감기 후 1~3개월 채굴자 수익성 악화(해시·난이도 조정)에 따른 후행 딥.
  • 보조 창구: 1~2월(프리-할빙 변동성), 9월(계절 약세)
  • 트리거
    • 해시레이트 급변/난이도 하향 조정, 채굴자 순포지션 매도 증가, MVRV≈1 부근, 200주선 근접.
  • 메모: 2028년은 ‘딥에서 적극, 평소엔 DCA’가 유리. 이벤트 트레이딩 과도화는 금물.

2029년 — “후반 랠리·피크 후보: 빠른 조정이 ‘기회’”

  • 우선 매수 창구: 4~9월
    • 근거: 후반 사이클에서 피크 전후로 -15~-30% 급락이 짧게 나왔다가 재반등하는 패턴이 잦음.
  • 보조 창구: 10월
    • 근거: 변동성 유지. 다만 과열 구간일 수 있어 신중.
  • 트리거
    • 온체인 이익실현 급증 → 진정, 현물 ETF 순유입 회복 전환, 50일선 회복 리테스트 성공.
  • 메모: 익절 룰(10~20% 분할)을 미리 정해 두고, 딥만 공략. 추격 금지.

2030년 — “사이클 후퇴/재축적: 중기 저점 분할 매수”

  • 우선 매수 창구: 1~3월
    • 근거: 피크 이후 포지션 청산/유동성 후퇴가 이어질 가능성.
  • 보조 창구: 4~5월
    • 근거: 1분기 조정의 여파/재시험.
  • 트리거
    • MVRV < 1(저평가권), 200주선 하회/근접, 거래소 순유출 전환(현물 보유로 이동).
  • 메모: 장기 투자자는 이 구간의 체계적 분할이 다음 사이클 원가를 결정.

전년도/전월 대비 ‘실행 규칙’(모든 연도 공통)

  1. DCA(뼈대): 주 1회 또는 월 2회 자동매수는 항상 ON.
  2. 추가 매수(살 붙이기): 위의 우선/보조 창구에서 트리거 1~2개 이상 충족 시, 당월 DCA 금액의 1.5~3배 추가.
  3. 리스크 관리: 레버리지는 지양. 급등 후 乖離 과도/온체인 과열이면 추가 매수 중지, 보유만.
  4. 체크리스트:
    • 가격: 50/200일선 이탈폭, 200주선 근접도
    • 온체인: MVRV, SOPR(이익실현), 거래소 순유입/순유출
    • 마켓 유동성: 현물 ETF 순유입/순유출 흐름, 스테이블코인 순발행

요약

  • 2025: 3~4월, 9월(딥 바잉)
  • 2026: 2·5·8·11월(이벤트성 급락)
  • 2027: 8~10월(프리-할빙 변동성)
  • 2028: 3~4월 & 5~7월(반감기 전후 + 채굴자 스트레스)
  • 2029: 4~9월(후반 사이클 급락=기회)
  • 2030: 1~3월(사이클 후퇴 재축적)

 

비트코인 반감기 일정 (2025년 이후)

  • 최근 반감기: 2024년 4월 20일 (보상 6.25 BTC → 3.125 BTC)
  • 다음 반감기 예정: 2028년 3월 24일경 (보상 3.125 BTC → 1.5625 BTC)
  • 이후 반감기: 약 4년 주기, 2032년, 2036년, 2040년 등 계속됨

과거 반감기와 가격 패턴

  • 매 4년마다 반감기가 발생하며, 반감기 전 3~6개월부터 가격 상승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음
  • 반감기 이후 5~10개월 동안 강한 가격 상승(2012, 2016, 2020년 반감기에 따른 급등)이 관측됨
  • 반감기 전 500일 전부터 매수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라는 분석도 있음

2025년부터 매수 적정 시기 분석

  • 2025년은 2024년 반감기 바로 다음 해로, 일반적으로 반감기 후 강세장이 이어지는 초기 구간임
  • 2025년은 상승장이 진행되는 해로 보고 분할 매수 또는 보유 전략 권장
  • 2027년 말~2028년 초에는 다음 반감기 직전이므로 2027년 하반기부터 2028년 3월 반감기 전까지가 주요 매수 적정 시기로 보임
  • 반감기 이후 2028년 하반기~2029년 초까지는 강한 상승 가능성 존재
년도주요 이벤트매수 전략 및 시기
2025년 2024년 반감기 이후 1년차 상승세 유지 예상, 분할 매수 권장
2026년 반감기 후 조정 가능성 존재 조정 시 추가 매수 고려
2027년 다음 반감기 약 1년 전 3~6개월 전부터 적극적 매수 권장
2028년 3월 반감기 예정 반감기 후 5~10개월 강한 가격 상승 예상
2029년 반감기 후 상승세 지속 상승장 후반 매도 또는 보유 전략 고려 가능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반감기 주변 1년 전부터 매수해 1년 반가량 보유하는 전략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왔으며, 2025년 시작부터 이러한 주기를 참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